*


*

*

*

*

*

*

*

*


슬피 울며 노래하고 싶구만.

' > 찍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0) 2009.11.12
북유럽기행  (0) 2009.11.08
언덕  (0) 2009.10.13
광화문  (0) 2009.10.11
아직도 당신의 우산은 날아가고 있습니까?  (0) 2009.10.06

"날마다 쌔까만 츄리닝입고 한강달리는 놈", "다 컸는 줄 알았는데 더 크는 놈"



제왕은 검은 츄리닝 검은 비니로 어둠에 몸을 숨긴다. 아직 빛이 없어. 온갖 욕설과 쓰잘데기없는 말의 소모만이 가득한 거리에서 그는 빛을 찾으려(혹은 빛이 되려) 노력했지만 닭대가리들(혹은 귀쳐막고 듣는 애새끼들)속에서 그는 절망했다. 어느새 그도 원치않는 차가운 비수같은 랩들을 쏟아냈고 사람들은 그런 그를 보며 오만하고 다른 MC들을 깎아내리는 것을 즐긴다는("실력은 있지만 인간성은 별로")누명을 안겼다.

그러나 힙합에 있어서 자뻑랩은 그냥 하나의 수사가 아닐까? 그 사람의 랩을 그의 인간성과 연결짓는 것은 온당한가? 혹은 랩이나 입소문을 통해서 불확실하게 알게된 그의 인간성은 그의 작업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수 있을 것인가? 끼리끼리 친한 MC들끼리 형님아우하면서 놀면 발전이 있을까. 버벌진트는 호전적인 자세로 그런 질문들을 이끌어냈고 한국힙합씬은 활발한 논쟁을 통해 한층 더 성숙해졌다(고 VJ는 평가한다.).

부클릿에 나와있듯이 09년 그가 맞이한 두 사람의 죽음(아마 세사림일지도?)은 그에게 무엇인가 말해야겠다는 강력한 동기를 제공해준 것으로 보인다. 거기다 서른을 바라보는 나이, 로스쿨진학에 따른 이사와 처지의 변화들은 그의 입을 간지럽혔으리라. 비트메이커 델리보이와의 개인적인 프로젝트로 시작한 작업은 누명시즌에서의 은퇴선언을 뒤엎고 정규앨범 <The Good Die Young>을 탄생시켰다.

이번 앨범은 보다 개인적이고 그의 전작들에 비하면 내성적이다. 몇몇 곡들에서는 힙합씬을 언급하고 있지만 1집 <무명>과 2집 <누명>에서 볼 수 있는 결연한 전의와 우월감을 보이고 있지는 않다. 그런점에서 이 앨범은 두장의 EP들과 같은 맥락을 형성하고 있지만 그 시기와는 달리 한국 힙합씬의 전면에서 싸움을 거친 탓에. 그리고 때이른 죽음들을 본 이후라 훨씬 비관적이다. 하지만 그는 아직도 길을 찾고 있으며 싸우기보다는 함께하고 싶다고 이야기한다. 과거 닭대가리, 귀쳐막고 듣는 애새끼들에게 일갈하던 사자에서 자기 주위의 삶을 되돌아보는 이제 막 서른이 된 젊은이(누명 마지막곡 제목대로라면 아이겠지만)로 돌아온 듯 하다.

수록곡들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고(내가 그래서 버벌진트 음반을 산다.)..정말 완전 죽인다 그런 트랙은 모르겠는데 왠지 모든 곡들을 계속 꾸준히 듣고 싶다. 추천트랙을 굳이 꼽자면 신선했던 을지로 5가, 신나는 Yessir, JK의 쩌는 피쳐링이 돋보였던 나쁜 교육, 장엄한 La Strada, 그리고 가장 맘에 들었던 삼박자 2010을 추천한다.

+음..다 좋은데 개인적으로 델리보이핫츄랙~ 이건 좀ㅠㅠ약간 거슬렀다..뭐 집중에 방해되는 건 아니지만서도..조금..


앨범리스트

1. 56 Bars

2. 무간도(無間道) (Feat. 휘성) (Prod. by Verbal Jint& Delly Boy)

3. Inspiration

4. Searchin' (Feat. The Quiett)

5. 을지로 5가 (양고기 찬가)

6. Yessir (Feat. 조현아)

7. Ordinary (Feat. Rimi)

8. Check the Rhime

9. 삼박자 2010

10. 안녕이라고 말하지 마

11. Quiz Show (Feat. Lisa)

12. R.E.S.P.E.C.T.

13. Dramas of Life (Feat. Beenzino)

14. 나쁜 교육 (Feat. Tiger JK)

15. La Strada

'세상 > 들어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landia Op.26  (0) 2009.12.12
유재하 1집  (0) 2009.12.06
Carla Bruni, Comme De Rien n'etait  (0) 2009.10.19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5번을 듣고  (0) 2009.10.13
The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Choral"  (0) 2009.09.23

권력은 권위에서부터 나온다는 테제를 한국의 현실에서 생각해보자. 한국정권의 권위는 헌법에서 보장한 한국시민으로부터 인정된 정부라는데 있다. 한국식으로 이야기하면 정당성, 한국정부의 정당성은 시민으로부터 나온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시민의 인정 혹은 승인이라는 용어는 확연한 실체와 힘을 가진 것은 아니다. 모든 시민들이 동일한 의견을 가지고 있지 않고 또 동일한 권력과 이를 표현할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며 또한 중요한 것은 권력을 얻기까지의 과정이 굳이 정당할 현실적인 개연성은 없기 때문이다. 시민의 승인을 얻은 정부는 정당하지만 모든 정부가 시민의 승인을 얻으면서 생겨난 것은 아니다. 이 불합치를 연결시켜주는 것이 민주적인 절차이다. 헌법은 민주적인 절차의 규정을 통해 권력을 얻는 방법을 규정하고 강제한다. 그리고 민주정부의 일상을 헌법이란 외피 아래 규정하며 감독한다.

 

그러나 한국의 역사 속에서 헌정이라는 개념의 역사는 길지 않다. 독재정권이었던 박정희 정부가 주장하는 정당성은 민족과 근대화에 있었다. 박정희는 시민의 승인으로 대통령이 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민주적인 절차와 민주성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업었다. 물론 미국이나 시민들의 압력이 거셌지만, 독재정권에 민주성은 독이 될 뿐이다. 박정희의 권력을 강화시킨 것은 무력, 그리고 미국의 경제적 지원, 우세였던 북한과의 대결 혹은 통일국가 수립, 경제발전 등등 수도 없이 많았다. 박정희가 짚어낸 것처럼 한국은 냉전시대의 최전선에서 위기상황에 있었기 때문에 생존이 국가의 최대목표가 될 수 있었다.(그러나 이로 인해 독재정권 수립의 필연성이 생겨나진 않는다.)

 

....

 

어떻게 보면 이명박을 선택한 한국인들은 민주성의 함양이 꼭 경제적인 발전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며 어쩌면 이 둘은 동시에 달성 불가능한 목표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 것 같다. 더 나아가 극렬한(극렬하지만 다수인)분자들은 민주정이 경제발전을 방해하며 과거와 같은 권위주의가 우리 발전의 원동력이었다는 생각을 하는 것 같다. 그리고 역시 다수의 기회주의자들은 이 기회에 권위주의 정권부터 있어왔던 제한조치들의 파괴를 통해 방종을 꿈꾸는 이기주의와 무정부주의의 혼합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명박 정부에 있어서 민주적인 절차는 배터지는 아저씨에게 입혀놓은 잘빠진 수트와 같은 존재라 찢어버리고 싶은 생각이 가득할게다. 이번 헌법재판소의 판결은 헌법과 정부의 연결고리를 약화시킴으로써 헌법이 뒷받침하는 정부의 권위를 스스로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괴리가 극복되지 않는한 민주화 이후 정치권 내에서 보여주는 우유부단함, 혼란스러움 등은 계속될 것이다. 우리는 민주적인 절차를 확실히 공고화하던지 아니면 포기할 수 밖에 없다.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당신의 젊음에 찬사를 보낸다.  (0) 2010.03.11
3.1  (0) 2010.03.01
목숨보다 값진 것?  (0) 2009.10.04
국정원 박원순씨 민간인 사찰사건, 박원순씨의 글 전문  (0) 2009.09.18
소송 정국에 대한 단상  (0) 2009.08.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