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보기로 마음먹은 추석명절이지만 역시 집에 들어와 앉아(누워;;)있으니 아무래도 TV앞에 하루종일 붙어있게 되었다.
오늘 밥을 먹다 TV드라마에서 인상깊은 대사가 들었는데
"~하기는 죽기보다 싫어."라는 것이었다.
죽기보다 싫은 것이라. 그렇다면 그것이 목숨보다 더 중요한 것이라는 말이다. 아마 대본에서는 매우 싫다는 의미, 일상적인 의미에서 쓴 것일 거지만
나는 수저를 들다가 이런 생각이 들었다. 과연 무엇이 목숨보다 중요한가?
호메로스의 두 서사시,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에서는 목숨보다 중요한 것으로 두 가지가 제시되고 있다.
<일리아드>에서는 (욕되거나 평범하지만 길고 '행복한') 삶과 (정의로운 행동으로써 얻는) 영원한 명예에서의 선택이 주어진다.
주인공 아킬레우스는 선택권을 얻지만 망설임없이 (응당 행해야할)친구의 복수를 하고 영원한 명예를 얻고 요절한다.
여기에서 목숨보다 더 중요한 것은 명예, 정의로운 삶이다.
<일리아드>는 영웅의 삶을 권장한다.
어떻게 보면 <일리아드>의 연장선상에서 간계를 사용했던 오디세우스는 <오디세이아>에서 10년 동안 벌을 받는다.
그러나 <오디세이아>는 권고의 성격을 가진 <일리아드>와 달리 인간이 목숨보다 더 중요히 생각할 수 있는 것을 경고한다.
<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와 그의 병사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은 그들의 욕망이다.
오디세우스를 미워하는 신들의 사주로 군인들을 노리는 존재들은 그들의 욕망을 미끼 삼아 목숨을 앗아간다.
식욕 때문에 마법에 걸려버리기도 하고 거인에게 잡아먹히기도 하면서 결국 여행의 끝에는 오디세우스 홀로 그의 고향 이타카에 도달하게 된다.
오직 오디세우스만이 그의 욕망을 이겨내고 긴 여정의 끝에 그의 고향에 도착하게 된다.
오디세우스는 어떻게 그의 욕망을 이겨낼 수 있었는가. 그의 여행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우선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그는 그의 병사들과 달리 잠깐의 욕망에 넘어가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는 그래서 개죽음을 피할 수 있었다.
또한 오디세우스는 욕망을 통제할 줄 알았다. 그는 세이렌의 노래를 듣고 싶은 욕망에서 벗어나지 못하지만 지혜를 발휘해 죽진 않는다.
마찬가지로 성적인 욕망때문에 프시케와 몇 년을 허송세월했지만 결국 그는 그것에서 벗어날 줄을 알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는 '지혜'로운 자였고(실은 간교하단 표현이 더 어울릴지도) 그를 수호하는 것은 지혜의 여신 아테나였다는 점이다.
결국 우리가 죽음으로 행하는 욕망을 억제하기 위해선 지혜와 이성에 의지해야 한다고 호메로스는 <오디세이>를 통해 말하고 있다.
어찌 보면 둘은 상반되는 듯싶다. 일리아드를 보면 욕된 삶 따위는 버리고 영원한 명예를 택할 것을 말하고 오디세이아를 보면 욕망에 빠지지 말고 지혜에 의지해 그의 삶을 살아갈 것을 말하고 있으니 말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 두 작품 중에 일리아드의 중요성이 더 높았다고 한다. 일리아드의 영웅적인 삶에 경도된 것이다. 어떻게 보면 오디세이아의 결말부분은 조금 처량하다. 장엄한 헥토르의 장례식과 달리 부하들을 모두 잃고 단신으로 돌아와 간교를 꾸며 처절한 복수극을 실행하는 오디세우스의 모습은 뭔가 굉장히 씁쓸하다. 일리아드의 정의에 따르면 오디세우스의 복수는 정당한 것이지만 <오디세이아>에서 그런 정의를 바라보는 호메로스의 시선이 달라진 듯 우리는 그의 복수를 보며 뭔가 뒷맛이 개운치 못함을 느끼게 된다. 마치, 이게 진짜 삶이다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는 듯싶다. 난 그래서 <일리아드>가 재미있고 보기 좋지만 진짜 진실을 말해주는 것은 <오디세이아>라고 생각한다. 영웅이 되는 것도 좋지만 우리는 그 스스로의 삶을 현명하고(때로는 간교하게) 영위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게다.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0) | 2010.03.01 |
---|---|
10.29헌법 재판소의 판결에 대한 소고 (0) | 2009.10.30 |
국정원 박원순씨 민간인 사찰사건, 박원순씨의 글 전문 (0) | 2009.09.18 |
소송 정국에 대한 단상 (0) | 2009.08.20 |
노무현의 죽음 (0) | 2009.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