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는 주어져 있지 않지만 ‘제1악장 Moderato-Allegro non troppo는 어렸을 때의 회상, 제2악장 Allegretto는 다시 돌아오지않는 과거에의 씁스레한 미소, 제3악장 Largo는 고뇌의 눈물, 제4악장 Allegro non troppo는 모든 의문에 대한 회답’이라고 적혀 있다...
(네이버 사전 펌)


음악이 국가를 위해 봉사해야했던 전체주의 국가에서 쇼스타코비치는 고난을 겪는다.
어두침침한 그의 4번 교향곡은 당국으로부터 퇴폐적인 부르주아 문화에 젖은 곡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쇼스타코비치는 정치적인 요구를 만족시키면서도 스스로도 만족할 수 있는 음악을 모색했고
절치부심하여 5번 교향곡을 발표하고 불멸의 반열에 올라선다. 

5번, 9번 교향곡은 베토벤의 전통, '고뇌에서 환희로'라는 주제에 따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쇼스타코비치의 5번 역시 압제, 고난을 딛고 일어나는 인간의 힘을 포착하고 있다.

파시즘과 스탈린 독재, 비밀경찰, 전쟁의 시대에 한 인간의 가치는 시대에 매몰되고 휩쓸리고 짓밟혔을 것이다.
그러나 쇼스타코비치는 그 인간의, 핍박당하는 인간대중(왠지 인민, 민중이라고 말하면 의미가 너무 한정되는 것 같다..),
, 시대를 떠다니는 인간들, '당하는' 인간들이 승리할 것을 말한다.

이런 음악이 인간을 핍박했던 소비에트 당국으로부터 인정받았다는 것은 대단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쇼스타코비치는 아주 멋지게 그들을 한방 먹인 셈이다.

또 쇼스타코비치 5번은 냉전시대 남한에서 최초로 연주된 공산권의 음악이라고 한다.
번스타인과 뉴욕필이 내한공연을 하려고 했는데 박정희 정권에서 이 음악을 공산권의 음악이기 때문에 레퍼토리에서 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번스타인이 쇼스타코비치를 빼면 내한공연 자체를 취소하겠다고 강하게 나가자 어쩔 수 없이 당국이 굴복해서 쇼스타코비치 5번은 한국에서 최초로 연주된 공산권의 음악이 되었다.
압제받는 인간이 존재하는한 쇼스타코비치 5번이 주는 교훈은 영원하지 않나 싶다.

'세상 > 들어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rbal Jint 3집, <The Good Die Young>  (0) 2009.11.03
Carla Bruni, Comme De Rien n'etait  (0) 2009.10.19
The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Choral"  (0) 2009.09.23
Ready, Get Set, Go  (2) 2009.09.03
그때 그사람  (0) 2009.08.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