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개의 드라마를 보면서,
사랑받는 사람들의 특징은 속이지 않고 자기자신에게 충실하면서도 이것이 남한테 민폐가 되지 않는 그런 사람인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사랑받아서 남한테 폐끼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사람들은 대개 억눌린 삶을 살아서 그런가 조금 어리숙하고 그것이 실수가 될 수도 있지만 자기 자신의 감정에 충실한 주인공들을 사랑한다.

자기감정에 충실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자기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느끼는가 알고 그것을 가감없이 드러내는 것?
나에게는 내 마음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너무나 어렵고, 그것을 표현하는 일은 더더욱 어렵다.

그렇기때문에 사랑받기란 정말 아주 어려운 일인가보다.

' > L'Ecume Des Jou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래로 만든 남자  (0) 2010.03.25
3월 24일  (0) 2010.03.24
3월 18일, 진눈깨비.  (0) 2010.03.18
갈망.  (0) 2010.03.15
서울 흐림, 비도 내리고 눈도 내림.  (0) 2010.03.09




진눈깨비란 말을 오랜만에 들어보았다. 음, 나는 오늘 저녁까지만 해도 오늘이 한겨울인지 알았다.
어느 순간부터 나는 날짜를 세지 않게 되었고, 하늘을 올려다보지 않았고 바람이 찬지 따뜻한지 느낄 수 없었다.
하루하루가 늘 추웠는데, 아마 그 상태가 영원하리라 생각했나보다. 음, 했나보다가 아니라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요새는 아예 시계도 보지 않는다. 시계를 보지 않아도 늘 자던 시간에 자고 늘 학교가기엔 약간 늦은 시간에 일어난다.
오늘은 나의 거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언제나 내 곁을 떠나가서 난 매일매일을 이별하는 심정으로 지냈다.

온통 깜깜하고 어두운데 나는 어떻게 살아야할까. 분명 나는 살고 싶은데 어떻게해야 제대로 살아갈 수 있을까 고민이다.
신은 구하는 자에게 최고의 것을 주신다고 하는데 나는 천성이 의심이 많은 놈이라...
나에게 믿음은 '의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겠다.

그 문자는 아주 신기한 타이밍에 도착했다. 정말 너무나도 신기한 타이밍이어서 나는 문자를 받고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주위를 둘러봤다. 그 문자는 내게 지금 내리는 게 눈이 아니라 진눈깨비이며 너는 작년 이맘때쯤에는 열심히 봄을 맞이하고 있었다는 점을 내게 환기시켰다. 마치 고려말의 은자가 산골에 수십년간 쳐박혀 있다가 어느날 고려는 망하고 조선조가 들어섰다라는 말을 듣는 그런 기분? 나는 푹 눌러쓴 후드를 잠시 열고 하늘을 향해 입을 벌렸다. 반짝반짝 내리는 것이 입술에 와닿았고 그것은 처음엔 차가웠다 이내 따뜻해졌다. 음, 나는 흥분된 기분을 가라앉히고 잠깐 그때 그 계절에 대해 생각해보기로 했다.

나는 여름과 가을에는 정말 철저하게 외로웠기 때문에 그 전의 계절이 그때보다 훨씬 좋았던 때라는 점에는 동의한다. 그때 내 사랑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것이었고 그 동전은 내가 보이는 곳에서 소리를 내려 굴러가고 있었다. 나는 쫄쫄쫄 그 동전을 따라가면서 비를 맞았고 봄이 오는 것을 느꼈으며 바람에 날리는 꽃잎을 훔쳐먹었고 술마시고 노래불렀다. 그동안 내 그림자는 서서히 길어졌지만 나는 걱정하지 않았고 의심하지도 않았다. 음.............
길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나는 나 자신이 그렇게 좋은 놈이 아니면서도 남을 쉽게 정죄하고 또 죄인으로 몰아가려는 단점이 있다. 천주교에서 말하는 것처럼 '내탓이오'라고 말해야겠다. 내가 우유부단하게 처신하지 않았다면 오해는 생기지 않았을 것이고 내가 화내야할 상황도 없었을 것이고 풀지못하는 의심에서 나오는 까칠함도 없었을 게다.

에이고 미련퉁아.

' > L'Ecume Des Jou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24일  (0) 2010.03.24
3월 19일의 고민  (0) 2010.03.19
갈망.  (0) 2010.03.15
서울 흐림, 비도 내리고 눈도 내림.  (0) 2010.03.09
3월 3일  (0) 2010.03.03


나는 매일 실실대며 웃고다니지만 실은 성격이 매우 불같은 편이다. 차분한 척 하지만 차분하지 못하고 예민해서 아주 작은 일 하나하나에 자극된다. 천성이 예민해서 일찍 죽은 시인들의 이야기를 많이 알고 있고 그들이 어떤 심정을 느꼈는지 나는 알고 있다. 그러나 신의 보호하심으로, 나는 여지껏 살아있다. 교육은 내 감수성을 무디게 만들었고 수년전에 수없이 흘린 눈물로 흉진 가슴은 예전보다 많이 닫혀있어서 예전보다 자극에 더 강해진 게 아닐까 싶다. 항상 냉담하고 거리를 재는 버릇은 뽀나스.
그러나 그런 수동적인 삶의 자세로는 나의 갈망을 도저히 채울 수 없다. 절대로 채울 길이 없다. 결국은 어떤 상처라도 감수하고 마음을 열고 나아가야지 내가 그토록 갈구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고독, 외로움이 그간 나의 벗이었다. 그네들은 나의 생명을 서서히 앗아가지만 가슴의 불은 끄지 못해 사람을 지독한 고통에 빠트리는 역할을 한다. 그네들을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나는 나의 마음을 열어야한다. 하지만 나는 내 가슴을 열었을 때 사람들이 내가 지독히 갈망에 빠져있는 사람이란 것을 파악하는 것이 몹시 두렵다.
그래서 나는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무작정 눈보라 속을 걸었다. 아주 단순한 생각이지만 눈보라 속에서는 내 마음이 식을 줄 알았다. 생각을 그치고 죽을 병에서부터 잠시라도 도망갈 수 있을 줄 알았다. 하지만 님이 계신 곳을 향해 눈물이 나는 건, 어쩔 수 없더구만. 그저 낙담하여 신을 향해 단발마의 비명을 내질렀을뿐.

당신은 말한다. 내가 괴롭다는 것을 안다는 그런...아니 근데 문장구조가 명확하지 못해 어떻게 보면 나를 탓하는 글인 것 같기도 하다. 당신은 나를 우선 몹시 아프게 만들고 사소한 실수들로 나를 몹시 혼란스럽게, 그리고 지치게 만든다. 나는 당신을 응원할 생각이 없다. 나없는 동안 괴롭고 힘들어서 나를 찾게 만들고 싶을 뿐이다.

나는 이런 비참한 상태로부터 벗어나고 싶다. 꼭 그리하고 싶다.

' > L'Ecume Des Jou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19일의 고민  (0) 2010.03.19
3월 18일, 진눈깨비.  (0) 2010.03.18
서울 흐림, 비도 내리고 눈도 내림.  (0) 2010.03.09
3월 3일  (0) 2010.03.03
  (0) 2010.02.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