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난다.


"싸늘한 눈빛으로 한마디 말도 없이 그대는 떠나가고
영문도 모르는채 그곳에 한동안 서있었네 우두커니..."


"날마다 쌔까만 츄리닝입고 한강달리는 놈", "다 컸는 줄 알았는데 더 크는 놈"



제왕은 검은 츄리닝 검은 비니로 어둠에 몸을 숨긴다. 아직 빛이 없어. 온갖 욕설과 쓰잘데기없는 말의 소모만이 가득한 거리에서 그는 빛을 찾으려(혹은 빛이 되려) 노력했지만 닭대가리들(혹은 귀쳐막고 듣는 애새끼들)속에서 그는 절망했다. 어느새 그도 원치않는 차가운 비수같은 랩들을 쏟아냈고 사람들은 그런 그를 보며 오만하고 다른 MC들을 깎아내리는 것을 즐긴다는("실력은 있지만 인간성은 별로")누명을 안겼다.

그러나 힙합에 있어서 자뻑랩은 그냥 하나의 수사가 아닐까? 그 사람의 랩을 그의 인간성과 연결짓는 것은 온당한가? 혹은 랩이나 입소문을 통해서 불확실하게 알게된 그의 인간성은 그의 작업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수 있을 것인가? 끼리끼리 친한 MC들끼리 형님아우하면서 놀면 발전이 있을까. 버벌진트는 호전적인 자세로 그런 질문들을 이끌어냈고 한국힙합씬은 활발한 논쟁을 통해 한층 더 성숙해졌다(고 VJ는 평가한다.).

부클릿에 나와있듯이 09년 그가 맞이한 두 사람의 죽음(아마 세사림일지도?)은 그에게 무엇인가 말해야겠다는 강력한 동기를 제공해준 것으로 보인다. 거기다 서른을 바라보는 나이, 로스쿨진학에 따른 이사와 처지의 변화들은 그의 입을 간지럽혔으리라. 비트메이커 델리보이와의 개인적인 프로젝트로 시작한 작업은 누명시즌에서의 은퇴선언을 뒤엎고 정규앨범 <The Good Die Young>을 탄생시켰다.

이번 앨범은 보다 개인적이고 그의 전작들에 비하면 내성적이다. 몇몇 곡들에서는 힙합씬을 언급하고 있지만 1집 <무명>과 2집 <누명>에서 볼 수 있는 결연한 전의와 우월감을 보이고 있지는 않다. 그런점에서 이 앨범은 두장의 EP들과 같은 맥락을 형성하고 있지만 그 시기와는 달리 한국 힙합씬의 전면에서 싸움을 거친 탓에. 그리고 때이른 죽음들을 본 이후라 훨씬 비관적이다. 하지만 그는 아직도 길을 찾고 있으며 싸우기보다는 함께하고 싶다고 이야기한다. 과거 닭대가리, 귀쳐막고 듣는 애새끼들에게 일갈하던 사자에서 자기 주위의 삶을 되돌아보는 이제 막 서른이 된 젊은이(누명 마지막곡 제목대로라면 아이겠지만)로 돌아온 듯 하다.

수록곡들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고(내가 그래서 버벌진트 음반을 산다.)..정말 완전 죽인다 그런 트랙은 모르겠는데 왠지 모든 곡들을 계속 꾸준히 듣고 싶다. 추천트랙을 굳이 꼽자면 신선했던 을지로 5가, 신나는 Yessir, JK의 쩌는 피쳐링이 돋보였던 나쁜 교육, 장엄한 La Strada, 그리고 가장 맘에 들었던 삼박자 2010을 추천한다.

+음..다 좋은데 개인적으로 델리보이핫츄랙~ 이건 좀ㅠㅠ약간 거슬렀다..뭐 집중에 방해되는 건 아니지만서도..조금..


앨범리스트

1. 56 Bars

2. 무간도(無間道) (Feat. 휘성) (Prod. by Verbal Jint& Delly Boy)

3. Inspiration

4. Searchin' (Feat. The Quiett)

5. 을지로 5가 (양고기 찬가)

6. Yessir (Feat. 조현아)

7. Ordinary (Feat. Rimi)

8. Check the Rhime

9. 삼박자 2010

10. 안녕이라고 말하지 마

11. Quiz Show (Feat. Lisa)

12. R.E.S.P.E.C.T.

13. Dramas of Life (Feat. Beenzino)

14. 나쁜 교육 (Feat. Tiger JK)

15. La Strada

'세상 > 들어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landia Op.26  (0) 2009.12.12
유재하 1집  (0) 2009.12.06
Carla Bruni, Comme De Rien n'etait  (0) 2009.10.19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5번을 듣고  (0) 2009.10.13
The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Choral"  (0) 2009.09.23


2008년 7월 11일, 세간의 관심을 받으며 발매된 본 작은 작고한 자신의 오빠인 카메라맨 바지니오 브루니 테데스키(Virginio Bruni Tedeschi)를 기리는 음반으로 알려져 있다. 앨범이 발매되기 이전에 온라인에서 딱 두 시간 동안만 선 공개 되기도 했는데 프랑스의 각 방송국은 이에 대해 대대적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심지어 사르코지는 11일에 정식 발매되는 본 앨범의 출시를 위해 G8 정상회담 일정을 늦출 정도로 각별히 신경을 썼다고 한다.

속지에 그려있는 그림들은 여러 헐리웃 영화의 오프닝 애니메이션 타이틀 제작팀으로 유명한 듀오 쿤젤+데이가스(Kuntzel+Deygas)의 멤버인 플로렌스 데이가스(Florence Deygas)가 그렸으며 음반의 사진은 국내에도 잘 알려진 사진작가 장-밥티스트 몬디노(Jean-Baptiste Mondino)의 작품으로 채워져 있다. 본 작은 프랑스 앨범차트 3위로 데뷔했으며, 한 주 만에 1위로 등극하기도 했다. 포크를 기반으로 1960년대의 프렌치 팝과 보사노바, 플라맹고 등의 다채로운 요소들을 흡수하고 있는 본 음반의 수익금 중 일부는 자선단체에 기부 된다고 한다.

영화 [올리버 스톤의 킬러(Natural Born Killers)]와 [슈렉(Shrek)]에 삽입되면서 한국에서도 사랑 받았던 밥 딜런(Bob Dylan)의 [You Belong To Me]와 미셸 우엘벡(Michel Houellebecq)의 시를 가사로 차용하고 있는 [La possibilité d'une île], 줄리앙 끌레르와의 합작 [Je suis une enfant], 체 게바라를 위한 곡으로 국내에도 잘 알려진 이탈리아의 싱어-송라이터인 프란체스코 구찌니(Francesco Guccini)의 1971년도 곡 [Il vecchio e il bambino] 등의 다채로운 곡들로 가득하다. 사려 깊고 촉촉하며 몇몇 곡들은 유독 권태롭지만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헤어나올 수 없게끔 만든다.

허스키한 보이스로 속삭이듯 부르는 곡들은 확고한 그녀만의 색깔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확실히 불어에 어울리는 목소리이다. [No Promises]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던 것이 바로 영어로 이루어진 가사였기 때문이라는 언급이 있어왔다. 하지만 더 이상 그 부분에 대한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카를라 브루니는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멜로디와 가사를 비로소 본 작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중년의 농익은 프랑소와즈 아르디(Françoise Hardy) 라던가 노라 존스(Norah Jones), 그리고 캣 파워(Cat Power)의 곡들을 좋아한다면 본 작 또한 당신을 매료시킬 것이다. 음반은 확실히 이전 작들 보다는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앨범의 커버만큼이나 짙푸른 녹음과 잘 어울리는 노래들을 담고 있다. 물론 바쁜 도시 속 일상에서도 훌륭한 BGM이 되어줄 것이며, 이는 오히려 혼잡한 상황에 놓인 당신을 여유롭게 만들어 줄 것이다.

(네이버 뮤직 펌:http://music.naver.com/album.nhn?tubeid=166703)


사람이 모든 걸 가질 수 있는걸까?
나는 그전까지는 브루니를 잘 몰랐는데, 이 음반을 듣고 나서 사르코지보다 브루니가 좀 더 아깝지 이런 생각을 했다.

그전에는 그냥 정치학도의 입장에서 아 이런 일이 있는갑다 하고 사르코지와 브루니의 이야기를 들었었는데,
정말 이 여자는 대단하다 싶다.
역시 사람은 아는 만큼 보고 듣는건지...처음 사르코지가 이혼하고 이쁜 브루니랑 결혼한다고 했을 땐 정말 별꼴이야 이랬는데.. 앨범낸다고 했을 땐 조금 비호감이기도 했는데...앨범을 듣고 나니 나의 그에 대한 평가가 정당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았다.
가끔은 팝을 듣는 것도 같고 가끔은 황홀한 게 옛날 샹송의 느낌도 나고, 감미로우면서도 톡톡 쏘는 그런..

일요일 밤이나, 글 쓸 일 있을 때 들을 것을 추천.


-
참 그러고보면 유럽은 어떤 의미에서 공과 사가 참으로 철저히 구분되지 싶다. 만약 사르코지가 한국대통령이었다면 탄핵당했을 듯 싶다. 우리는 과거 수신제가치국평천하에 익숙해져서 그런지 철저하게 도덕을 요구하는듯 싶은데 정작 더러운게 현실이니 뭐가 옳은 건지 잘 모르겠다. 하긴 한국이었으면 사르코지도 좌빨이니까 대통령 못했을 거 같다.
아 C'est Cool!!!

'세상 > 들어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재하 1집  (0) 2009.12.06
Verbal Jint 3집, <The Good Die Young>  (0) 2009.11.03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5번을 듣고  (0) 2009.10.13
The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Choral"  (0) 2009.09.23
Ready, Get Set, Go  (2) 2009.09.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