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명절, 기분 좋다.
모짜르트를 듣고, 글을 두어편 써볼 예정이다. 오랜만에 철원에도 한번 가보려고 한다.
그리고 황동규의 시가 보고 싶다. 황동규의 시를 보니 슈베르트도 듣고 싶어졌다.
마지막 산책길
-오문강 시인에게
어쩌다 한 보름 산책 놓친 길
아파트 내어놓기 이틀 전
마지막으로 걸어본다.
마지막 빨래를 세탁기에 돌려놓고
한 시간쯤 노래하는 슈베르트의 현악 오중주를 막 틀어놓고 나왔다.
방이여
오늘은 겨울 안개 속에 버클리 마리나까지밖에 보이지 않는
방이여
짐 싸느라 부산한 체하는 나를 내보내고
혼자서 한번 들어다오
『겨울 나그네』끼마저 벗겨진
저 벌거벗은 슬픔과 맑음을.
크리스마스 다음다음날
보름 전보다도 한결 풀이 파래진 바닷가 길
낚시꾼 하나 없는 길.
주인 없이 방이 혼자 음악을 듣는 것이 결국 삶의 마지막 모습.
포르테시모!
테이블 가장자리에서 졸던 프라이팬이 화닥닥 바닥에 떨어진다.
아무도 고개를 돌리지 않는다.
아 내 끼마저 벗겨진 소리,
벌거벗은 흥취.
좀처럼 듣기 힘든 샌프란시스코 만의 물새 하나가
옆을 스치며 운다.
(1997. 12. 27, 에머리빌에서)
<버클리풍의 사랑 노래> pp64~65, 황동규, 문학과지성사2000
<버클리풍의 사랑 노래> pp64~65, 황동규, 문학과지성사2000
"나는 이 세상에서 가장 불운하고 또 비참한 존재 같소.
회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나빠진 건강과 완전한 절망에 빠져 모든 주위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바라만 봐야 하는 한 남자의 심사를 헤아려 보시오.
간직했던 모든 희망이 하나같이 다 무너져버리고
이제는 사랑과 우정으로도 위로받지 못하게 된 남자를 상상해 보시오.
매일밤 침대에 누울 때마다 다시는 아침에 깨지 않기를 기도하오.
그러나 아침은 어김없이 오고 슬픔은 밤새 나와 같이 잠잤다가 다시 깨어 내 옆에 그대로 있소."
1824년 3월 31일, 슈베르트가 그의 친구에게 보낸 편지
학교에 나오는 길에는 최인훈의 소설과 황동규, 정현종의 시를 빌렸다.
나는 싫어하는 것들을 많이 봤으니 좋아하는 것들과 시간을 함께할 참이다.
휴일에는.
음악처럼 살 순 없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