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하루종일 내 카메라를 들고 거리를 다니다가 나는 사진을 찍으러 다니는게 아니라 사진에 대해서 생각하러 다닌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내가 찍을 수 있는 소재는 한정되어있고, 더군다나 나는 어떤 소재가 작품 자체를 규정하는 방식에 대해서 반감을 가지고 있다.

좋은 사진이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답을 해야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건 아니다. 혹은 이 질문에 대해서 일단 가정을 내리고 사진을 찍는 게 유익할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저 질문에 만족스러운 답을 찾고 싶고, 찾아야만 한다. 이게 내 병증이다.

매사 이런 성향으로 접근하는 게 나의 병증이다.

가령 인생을 살기 위해 좋은 인생이란 무엇인가라는 이론을 세워야하는 건 아니지만, 나는 지적으로 만족스러운 이론과 답을 얻고 싶다.

만족스럽다는 말에 내재되어 있듯이 만족스러운 답은 지적으로 잘 짜여진 이론이자, 쓸모있는 해결책까지 나아가야 한다.

그러나 앞서 말하고 있듯이 잘 살기 위해 이런 답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 건 아니며, 혹은 잘 살기 전에 이 답을 안다는 건 어불성설일지도 모른다.

나는 경험으로 완성시켜야할 지식에 대해 선험적인 틀을 먼저 요구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여튼 다시 사진으로 돌아가서,

그나마 사진은 삶이나 세계에 비해서 요구하는 진리의 수준은 훨씬 소박하기 때문에 위안이 된다.

아마도 사진에 대한 철학, 사진에 대한 사회학은 전체 이론의 부분일 것이기 때문이다.

사진을 통해서 세계에 대한 통로를 얻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나는 그런 시도는 가망이 없다고 생각한다.

확실한 시각적인 정보를 통해 진리에 접근한다는 주장은 우리를 다시 진리에 대한 명석판명한 관념을 얻고자 했던 데카르트의 시도로 회귀하게 만든다.

그것은 낡고 가망없는 길이다.

나는 다만 사진에 대해서 기록적인 가치만 인정하고자 한다. 그 기록은 전체 역사의 사소한 부분이겠지만 인류학적인 가치를 가져야한다.

사진의 인류학적인 가치에 대해서 나는 "망각에 대한 투쟁"이라는 밀란 쿤데라의 용어를 빌리고 싶다.

이 말은 밀란 쿤데라가 소설의 인식적 가치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한 말이지만, '기록'과 역사적 인식에 기여하는 측면에서 사진도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사진은 영원히 즉물성에 묶여있는 매체이지만, 오히려 그 즉물성은 사진이 탈역사적이고 선험적인 형이상학의 유혹에 빠지지 않게 만들어준다.

소박하게 내가 찍는 사진들은 그런 작은 기록들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곧 사라져버릴 기억들에 대해서 나는 기록하고 있으며, 그 대상들이 사라져버려야하는 이유에 나는 암묵적으로 저항하고 있다.


그냥 그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흑백사진을 많이 써보진 않았다.

우선 흑백을 온전히 현상해주는 곳을 찾기 힘들고 그 비용이 만만치 않아서

여태껏 흑백필름은 딸랑 두번 써봤을 뿐이다.

이번에 사용한 neopan400이 그 두번째 필름인데 결론부터 내리자면 아주 만족스러웠다.

 

왜 neopan400인가,

예전에 일하던 사진관에서는 흑백현상, 흑백인화를 해주진 않았지만(전용약품이 필요)

흑백스캔은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스캔을 하고 디지털인화를 하는 것이므로)

지금 한나라당 의원으로 활동하고 계신 강명순 목사님(그때는 그렇게 대단한 분인지 몰랐다는;)이

어느날 예전에 촬영하신 필름을 가지고 스캔을 주문하신 적이 있다.

그때 맡기신 필름이 바로 neopan이었다.

기억나는 건 감도도 써있지 않고 그냥 neopan이렇게 써있는 수십년의 세월이 지난 필름들 속에

따뜻한 풍경들이 빛도 바래지 않고 고이 간직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왜 오래된 컬러네가들을 인화해보면 왠지 빛바랜 느낌 있지 않은가.

그런 세월의 풍파가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흑백필름이라면 오래된 필름이라는 인식이 있어서 그것이 오래되었다는 생각을 못한 것일 수도 있지만

나는 그 안에 풍경들이 컬러보다 훨씬 더 단단하게 살아남았음을 느꼈다.

그때 꼭 neopan을 한번 써보자 마음먹었었다.

 

그러나 DSLR을 영입하고 학업이 바빠지면서 일을 그만두고도 사진을 많이 찍지 못했다.

일반 네가필름들도 6개월만에 현상하고 흑백필름은 꿈도 못꾸는 날들이었다.

한참 있다가 이번 가을에 새학기가 되고 다시 MX를 꺼내들면서 neopan400을 경험하게 되었다

 

(아래 사진들은 모두 MX+m50.4mm로 촬영된 것들이다.)

 


가을길


단풍


학교농구장, 밤


달밤, K관 앞


웃는 친구


어두운 곳에서 비교적 만족스럽게 나온 사진
학교선배


어둠에 잠기다





neopan400을 쓰면서 느낀 장점은 다음과 같다.

입자가 곱다. 감도400의 필름임에도 불구하고 입자가 거칠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그렇기때문에 광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인물촬영용으로 부담없는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조금 노란끼가 도는 경향이 있는 거 같은데(주관적인 색감판단임;)

왠지 따뜻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단, 사진들이 전부 오버로 찍혀서 그런지는 몰라도 왠지 두루뭉실하다는 느낌은 들었다.

입자가 부드러워서 더 그런가..

이건 여러번 써보면서 더 알아봐야겠지만 원경을 찍거나 자세한 묘사가 필요한 사진에는 안어울릴 것 같다.

 

앞으로 어떤 흑백필름들을 또 만나볼 지 모르겠다.

만약 더 경제적이라고 생각하면 자가현상을 할지도 모르겠고

하지만 이번에 neopan400을 통해서 얻은 만족감은 쉽게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아마 첫 흑백필름(두번째지만 처음은 멋도 모르고 썼던;)으로 기억될 것 같다.

 

(2008.12.13 ,泫)


' > 찍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이야  (0) 2009.02.17
겨울나무  (0) 2009.02.13
안개낀 대부도  (0) 2009.02.13
태풍 매미의 기억들  (0) 2008.07.25
군대가기 전의 기억들, 홍대앞 출사  (1) 2008.07.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