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규 『그리스도인은 왜 인문학을 공부해야 하는가?

 

흥미로운 제목이 아닐 수 없다. 내가 진짜 그리스도인인지도, 인문학을 공부할 수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과연 그리스도인이 왜 인문학을 공부해야 하는지 괜찮은 이유를 제시해주고 있나 제목을 보고 궁금했던 책이다. 총신대에서 사용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교재에 나오는 인문학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서술덕분에 우리는 설교대에서 이런 말을 많이 들어왔다. 인본주의, 다원주의 등등이라 저질이다 등등… 그러나 나는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툭 까놓고 그런 생각이 들었다. 과연 그들은 인문학이 무엇인지 알까? 인문학이란 게 하나로 퉁칠 수 있는 대상인가?

내용에 대해서 아주 투박하게 설명하기 전에 이 책의 장점에 대해 말하자면 꽤 친절하고 간략하게 신학사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저자인 김용규 교수는 2천년의 신학사를 인문학과의 관계 속에서 간명하게 그려내고 있다. 우리가 다니는 교회들의 교의학이 그려내는 자화상과는 다르게 우리 시대의 신학은 계시로부터 뙇 등장하고 있는 게 아니라, 공시적으로 통시적으로 세상 철학과 많은 관계를 가지며 2천년의 시간을 거쳐 등장한 것이다. 이 책을 보면 그 역사에 대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성공적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인문학과 신학이 둘 다 필요한 현실에 대해 이야기해주고 있다. ‘위험사회유동하는 공포가 등장한다(개인적으로 이 포인트가 제일 좋았다). 주요한 논점은 인문학은 사실 기독교의 본질을 이루고 있으며, 그 본질은 기독교가 세상에 뿌리내리고 사역할 수 있게끔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내용을 살펴보자면 저자는 먼저 기독교 신학은 제일 학문(scientia prima)입니다.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이상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럼에도 세속적 세상의 구원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기독교 신학은 제일 학문입니다.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들의 가장 높은 구렁텅이에 빠진 인간의 구원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독교 신학은 제일 학문입니다. 요컨대 다른 어떤 학문보다 드높은 이상을 추구하고, 다른 어떤 학문보다 폭넓은 가치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또한 바로 그렇기 때문에 다른 모든 학문이 그 바탕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기독교 신학은 제일 학문입니다라고 이야기하며 논의를 시작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는 인문학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기독교 신학이 서양 인문학의(특히 철학)에게서 피와 살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고대 신학은 플라톤주의, 중세 신학은 아리스토텔레스 주의 철학의 도움을 받았고, 근세에는 개혁신학이 인문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자유주의 신학은 그 이름에서부터 드러나듯이 자유주의 사회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의식하지 못할 지는 몰라도) 다양한 당대 기독교 신학에 영향을 주고 있다. 저자는 책의 60페이지까지 친절하게 각각의 시대에 기독교 신학이 어떤 철학 사조들의 영향을 받아왔는지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이어서 기독교 신학은 약 2천 년동안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신앙과 이성, 성서의 계시와 인문학이 빚어낸 아름답고 정신적 구조물이라 극찬한다. 사실 이것이야말로 기독교 신학이 가지는 독창성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현대(특히 한국의) 교의학은 기독교 신학에 피와 살을 제공해준 철학의 영향을 잊어버리고 부정한다. 그러나 저자의 표현을 빌리자면, 기독교 신학은 하늘을 향하면서 땅에 뿌리내린 나무이고, 인문학은 그것의 지주이다. 근본주의적 기독교 신학은 그 자신이 계시에서 토대를 두고 있다고 보겠지만, 사실 인문학, 서구 철학이 없었다면 현대의 기독교 신학은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인문학은 기독교에 있어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라, 사실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본질중 하나이다.

이 책의 2부에서 저자는 이 시대에 인문학은 그리스도인에게 어떤 기독교적인 성찰을 제공해주는가를 보여주고 싶어하며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개념을 일례로 제시한다. 근대적 이성의 결과로 나타난 자본주의 사회와 첨단 과학은 끊임없는 성장을 위해 우리에게 불멸, 신성, 초인간을 약속하며 호모 데우스가 되라고 부추긴다. 그러나 하라리에 따르면 그 결말은 극소수의 인간이 만들어낸 프로그램을 통해 70억의 쓸모없는 인간들을 통제하는 극한의 시대이다. 왜 이런 파국의 시대를 우리가 맞이하게 되었는가? 저자는 니체를 빌어 신본주의적 가치들의 몰락과 인본주의적 가치의 물신화를 그 원인으로 지적한다. 계몽주의와 산업시대의 理神들을 지나, 도킨스 같은 (저질)진화론자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끊임없이 신의 굴레로부터 벗어났다. 그러면 낙원이 도래했을까?

우리가 맞이하게 된 것은 총력전과 홀로코스트, 전체주의 사회, 체르노빌 등등 고삐 풀린 이데올로기와 과학의 칼춤, 인간과 자연의 비가역적인 파괴였다. 바로 울리히 벡이 이야기한 위험사회로 우리는 진입하게 된 것이다. 신이 죽은 위치에서 근대적 이성이 생산해내는 위험들을 더 이상 이성적인 수단이나 방법으로 예측하거나 통제할 수 없는 사회가 되었다. 바우만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이런 위험 속에서의 세계화란 근본적으로 달아날 곳이 아무 데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양 철학에서 진행된 이성의 한계에 대한 고찰을 우리에게 제시해줌으로써 저자는 신으로의 요청이 필요하다는 것을 어필한다. 무신론적 인본주의는 인간 그 스스로를 벼랑 끝으로 몰았다. 안셀무스를 인용하며 저자는 신을 배제한 인간이란,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를 배제한, 무가치한 인간이라고 이야기한다.

그 다음으로 등장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종교와 이성이 그려왔던 거대한 그림을 포기하고 개개인의 작은 이야기에 집중함으로써, 이성의 간계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심리, 성적 지향, 다문화 등등… 포스트모더니즘이 제공하는 탈근대적 가치는 우리를 구원해줄 수 있는가?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저자가 보기에 포스트모더니즘은 현실을 등한시하는 일종의 레저일뿐이다. 현실에서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이 굶주리는데, 우리가 그런 현실을 등한시하고 개인의 심리, 성적 취양의 다양성 등등으로의 천착은 방조이자 더 큰 폭력이라는 게 저자의 의견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앞장서서 옹호하는 이들이 다른 누구보다도 자본주의자들이고, 좌파 지식인들이 포스트모더니즘이 계몽과 혁명의 조건들을 파괴함으로써 자본주의에 일조하고 있다고 이야기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신도 이성도 사라져버린 시대에 우리는 각자도생할 뿐이고, 높은 확률로 호모 유즈리스가 될 뿐이다.

이런 삶의 조건 속에서 기독교는 불가능성의 가능성을 믿는 종교로서, 희망과 혁명의 종교로 다시 등장한다. 철학이 이겨낼 수 없는 모순을 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 개념처럼 기독교적 사유는 통합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페리코레시스는 서로 대립하는 양자를 하나로 묶는 개념인데, 예를 들자면 셋이자 하나이고 아버지이면서 동시에 아들인’, ‘참 하나님이자 인간인’ ‘성스러운 공동체이면서 죄인 공동체등등 서로 대립하는 가치들을 묶을 수 있는 힘이 기독교에는 살아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당면한 절망적인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온전한 가치의 추구와 구현이 필요하고 여기엔 당연히 기독교의 신본주의적 가치들이 복원되어야 한다. 동시에 신본주의적 가치들을 통해 인본주의적 가치들을 재생해서 온전한 가치를 정립해야 한다. 여지껏 그래왔듯이 기독교는 일종의 용광로로 시대마다 닥쳐오는 변화와 도전 속에서 인문학을 끌어안고 온전함을 만들어가야 한다. ‘온전함을 지향하는 신학은 당대의 인문학에 대해 열린 신학이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