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해방을 향한 추동력을 가지고 지금 진행되고 있으며, 그리하여 지위와 계급을 넘어서 새로운 방식으로 개인들과 집단들을 자기 자신의 개성적인 사회적 및 정치적 사태에 댛 자기의식적인 주체로서 단결시키는 개인주의화(다른 저서에서는 자기화로도 나와있는?) 과정의 주장과 약속을 출발점으로 택할 수 있을까? 아니면 바로 그 과정의 결과로 사회적 및 정치적 행동의 최후의 보루가 없어지게 될까? 그렇다면 개인주의화된 사회는 갈등과 드러나지 않는 병세로 분열되어 실제로 아무것도 마지 않는, 심지어 새롭고 음험한 근대화된 야만주의조차도 막지 않는 정치적 무관심과 같은 것 속으로 빠져들지 않을까?"

"제도적 종속성을 통해 개인주의화된 사회는 동시에 전통적인 (계급) 경계들으 가로질러 모든 종류의 갈등과 속박과 연합에 취약하게 된다. 노동시장 양편의 적대감은 한정된 대비로 그 중요성이 줄어들며, 사적 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억압된 사회성들이 그 중심에 자리 잡는다. 뒷뜰 가까이에 건설되는 고속도로, 학교부지 선정의 악화, 부근에 건설되고 있어서 '집합적 운명'을 뚜렷이 의식하게 하는 핵폐기물 처분장과 같은 것들이 그 예이다. 

 하지만 결정적인 것은 제도적으로 형성된 집합적 운명이 개인주의화된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맥락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어떻게 인식되고 취급되는가이다. 이것을 형이상학적으로 표현하자면, 계급의식의 오목거울이 부숴지지만 산산조각나지는 않고, 작은 틈과 균열이 무수히 많이 있는 거울의 표면이 통일된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없을지라도 각 조각은 자체적인 총체적 상을 만들어 낸다고 말할 수 있다. 반복해서 몰아쳐 오는 개인주의화의 격랑을 통해 사람들이 사회적 속박에서 풀려나고 사유화되면서 이중의 효과가 나타난다. 한편에서 인식형태들이 사적(私的)으로 되는 동시에 시간축을 따라 인식할 수 있는 것이지만 비역사적으로 된다. 아이들은 조부모는 물론이고 더 이상 부모의 생활맥락조차 모른다. 말하자면 결국에 역사가 (영원한) 현재로 오그라들 때까지 인식의 시간적 지평이 점점 더 협소해지고, 모든 것이 자신의 개인적 자아와 삶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른 한편 공동으로 조직된 행동이 개인적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들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자기 자신의 삶을 살기 위한 제약요인들이, 정확히 말해서 또다시 새로운 제도적 조건의 생산물인 영역들이 늘어난다.

 이런 의미에서 개인주의화는 각자의 생애가 기존의 결정요인들에서 벗어나서 그 또는 그녀 자신의 손으로 결정됨을 의미한다. 근본적으로 각자가 결정할 수 없는 생활기회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으며, 각자가 결정할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 결정해야만 하는 생애의 비중은 늘어나고 있다. 생활상황과 과정의 개인주의화는 이리하여 생애가 자기성찰적으로 됨을 의미한다. 즉 사회적으로 규정된 생애가 자가생산되고 계속해서 생산되는 생애로 변형된다.…"


울리히 벡<위험사회> 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