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브 바커는 나까지 공포에 떨게 만든다. 그의 책으로 인해 우리는 지난 십 년 간의 잠에서 꺠어난 것 같다. 어떤 단편들은 너무도 오싹해서 읽을 수 없었고, 또 어떤 단편들은 장르의 경계를 넘나들며 공포의 영역으로 들어온다. 클라이브 바커, 그는 호러의 미래다." -스티븐 킹
공포문학계의 기념비적인 책이라고 한다. 84년에 클라이브 바커를 일약 스타덤에 오르게 한 소설집.
"피의 책"부터 시작하여 총 9개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스티븐 킹은 공포로 인해 몇 단편들을 읽을 수 없었다라고 말하지만 나는 그건 다소 과장이라고 생각한다. 궁금해서 미칠 지경이었고 계속 읽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공포소설이나 공포영화가 주는 쾌감은 제의의 그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공포의 영역에 희생양들처럼 우리의 주인공들을 쭉 밀어놓고 그들의 운명을 체험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이 우리와 같은 위치에서부터 얼마나 떨어졌나 가늠해보고(그 높이가 공포의 강도를 보여줄 것이다.) 공포에 떨고 마음껏 상상하다가(이게 두려우면 이쪽 장르를 잘 안보게 되겠지.) 책을 덮고, 혹은 영화가 끝나고 안도하는 것이다. 어떻게보면 공포장르는 비극의 한 분야라고도 볼 수 있겠다. 카타르시스의 또다른 부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는 그래서 이쪽 소설은 우리에게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고 생각한다.
이 소설집이 훌륭한 것은 우선 충분히 몰입할 수 있도록 재밌고, 그 상상의 영역이 굉장히 넓으며, 하나같이 파멸하기 때문에 혹시나라도 잘 될까 생각하는 독자들의 무모한 상상을 부숴버린다는 것이다. 끝없이 추락하는 인간들은 운명에 휩쓸리고 불가항력적으로 부서져버린다. 만약 스티븐 킹이 정말 너무 무서웠다면 클라이브 바커가 제시한 인간의 의지와 상관없이 그것의 운명을 관장하는 그 무언가에 상상이 미치지 않았을까...그런 생각을 해본다. 잔혹한 묘사보다는 인간의 의지가 정말 아무 것도 되지 않는 경우가 진짜 공포가 아닐까...
이 소설에서 주인공들은 나름 애를 쓰지만 인간을 먹는 존재의 대리인으로(미트나잇 미트 트레인), 돼지의먹이로(피그 블러드 블루스), 언데드로(섹스, 죽음 그리고 별빛), 거인화된 도시의 한 부품으로(언덕에, 두 도시), 퇴행해버린 살인마로(드레드), 물귀신으로(스케이프고트) 하나같이 전락해버린다. 클라이브 바커가 서문에 말한, 삶의 빛에서 반대에 위치하는 어둠에 잡아먹혀버린다. '비교적' 해피엔딩이라고 할 수 있는 "야터링과 잭", "로헤드 렉스"에서도 살아남은 자들은 온전하지 않다. 어떻게 보면 뒤에 제시한 소설들의 주인공은 인간이 아닌 괴물들이다. 괴물들은 제압당했지만 인간들의 상처는 지워지지 않는다.
'세상 > 읽어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19절 (0) | 2009.09.24 |
---|---|
푸른꽃 (0) | 2009.09.23 |
현대 일본의 역사, Andrew Gorden (0) | 2009.08.07 |
소오강호, 김용 (0) | 2009.07.28 |
아르떼미오의 최후 (0) | 2009.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