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존재하는가.

십자군전쟁에 참여해 10년을 종군하고 돌아온 스웨덴의 기사 안토니우스 블록은 그를 데려가려는 죽음의 방문을 받는다. 안토니우스 블록은 호기롭게 죽음에게 이기면 자신을 놓아주는 조건으로 체스게임을 제안하고 죽음은 이를 승낙한다. 기사는 유예기간을 통해 인생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그가 돌아온 스웨덴은 흑사병으로 인해 죽음이 그야말로 춤을 추고 있었다. 교회에서 죽음에 관련된 그림을 그리던 화가는 이렇게 말한다. "발가벗은 여자보다는 죽음이 더 흥미를 끌겁니다." 죽음은 도처에 널려있고 안토니우스 블록도 자신이 죽음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는 점을 직감한다. 그래서 더더욱 그는 삶의 의미를 찾고 싶어한다. 죽으면 아무 것도 아닌 게 되니까. 그의 종자가 계속 이야기하는 '무의미'에서부터 벗어나기 위한 발버둥이었던 셈이다.

결론을 먼저 이야기하자면 기사는 응답받지 못 한다. 그의 문제를 가장 확실히 해결해줄 수 있었던 신은 어디에선가 숨어서  대답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비참할 뿐이고 악마를 알고 있다던 마녀는 죽음 앞에서 똑같이 고통받는 인간임을 보일 뿐이다. 그리고 죽음은, 몹시나 의뭉스럽다. 죽음은 아무 비밀도 숨기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아무 것도 알려주지 않는다.

설정이 다소 과도한 것 같지만, 철학적인 문제를 아주 뚝심있게 풀어낸 영화(잔재미도 없지 않음). 결국 잉그리드 베리만이 이야기하는 것은 인간은 인간조건 아래서 인간답게 살아야한다는 것 아닐까. 삶의 이유는 그것을 알기 때문에 긍정할 수 있는 것일까. 이 영화를 통해 볼 때 그것은 모르는 것으로 알고자 하는 것을 설명하는 실수와 다를바 없어 보인다. 기사는 미지의 영역을 빌어 현실을 깨닫고자 했지만 결국 그가 찾을 수 있었던 유일한 '의미'는 행복 비스무리한 것일 뿐이었다. 그가 직접 보고 느꼈던 그 짧은 행복.

영화에 완전히 동의하진 않는다. 영화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사람들이 현실의 행복에 만족하는 순박한 사람들이란 게 그것이 삶의 의미라고 감독도 주장하고 있지는 않는듯 싶다. 그네들은 과연 죽음을 피해갈 수 있었을까? 또한 기사의 고민은 결국 그의 날에는 실패했지만 그렇다고 무가치한 것일까? 혹은 그런 고민이야말로 모든 인간들이 느끼는 '그저 호기심'은 아닐까.

처음에 제기했던 질문을 이렇게 고쳐써본다. 인생은 의미있는 것인가.
의미있다면 어떻게 의미있을 수 있을까?


아 정말 간지..
저 콘서트 장에 가고 싶다

http://www.youtube.com/watch?v=JnRIQhH-evo
영화<봄날은 간다>는 제목의 뉘앙스가 봄의 끝이나 초여름을 이야기하는 듯 하지만 실은 가을에도 굉장히 잘 어울리는 영화이다.
날이 좀 스산해지고 모든 것이 추위 속에서 잠들 준비를 시작하는 것을 보면서 조용히 지난 시간에 대한 성찰을 할 수 있는 가을이라는 계절에 이 영화를 통해 사랑의 시작과 종말을 관조하는 것! 참...
그래서 오랜만에 다시 <봄날은 간다>를 봤다. 한꺼번에 보는 게 아깝기도 했고 둘이 헤어지는 게 너무 싫어서 전철에서 20분씩 끊어보기도 했지만 결국 끝내버렸다. 저번주에 영화에 대한 찬사를 대신해 스스로에게 시월중으로 한번 글을 써보자고 약속했는데 거의 포기상태에 왔다가 오늘은 좀 손이 풀린 것 같아서 부족하지만 영화에 대한 감상을 적어보고자 한다.



음향기사 상우와 지방방송국 앵커인 은수

"...봄날이 가면 그 뿐..."
-기형도 <봄날은 간다>


처음 이 영화를 봤을 땐 사랑은 참 이쁘지만 잔혹하고 생각보다 현실적이라는 것을 잘 그려냈다는 평가를 내렸다.
그때가 지금부터 6년전 04년 봄이었으니, 나는 그때 내 나름 굉장히 치명적인 사랑에 빠져있었다.
나는 너무 쉽게 상우와 나를 동일시했고 은수의 사랑은 이해하지 못 했다. 아마 애써 이해하려고 했어도 이해하지 못 했을게다.
지금도 솔직히 완전히 이해가 되는건 아니었지만 그땐 상우의 그 유명한 테제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를 쭉 마음 속 깊히 새겨두고 있었다. 난 상우의 그런 모습이 너무나 인간적이고 순수해보였다.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나는 그런 사랑이 하고 싶었던 게 아니었을까.
나 스스로 그런 사랑을 얻기 위한 시도 끝에 실패의 가능성이 점점 커져가고 있었고 그런 사랑은 소설에나 등장하는 게 아닐까 묻던 시기였으니 반대로 상우의 연애관에 동화됨으로써 변해가는 나 자신을 정당화하려는 마음이 있었던 것 같다. 물론 이것들은 전부 6년이 지난 시기의 나의 해석이니 나중에 가서 또 변할지도 모르는 일이겠지만.
스무살의 나는 그당시 나의 연애관에 부합되는 해석을 내렸고 또 그것을 강화했다.
"...아름다와서 너무나 슬픈 이야기..." 아마 이런 사랑을 그리지 않았을지.

이 영화의 장점은 묵묵하게 사랑의 정경을 묘사하면서 (약간의 열린 결말) 관객들에게 판단을 강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마다 얼마든지 자기나름의 해석을 내릴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그리고 영화가 던지는 질문이 아주 보편적인 것이어서 새로울 것은 없지만 그 어느 때든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영화가 참 흐리멍텅하지만 그게 우리의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영화를 6년에 걸쳐서 네번 봤고 볼 때마다 다른 느낌을 받았다.

이번에 영화를 봤을 땐 연애와 일상의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통념상 연애는 약간의 일탈적인 상황으로 여겨진다.
연애는 '빠지게' 되고 그만큼 많은 것들을 요구한다. 시간, 비용, 무엇보다도 연애는 아주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연애를 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상우와 은수의 연애에 있어서 허진호 감독은 명확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진 않지만(보통 멜로영화에서 보여주는 특별한 사건을 생각해보자)
이끌림 이전에 은수의 외로움이 많은 역할을 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상우에 비해서 은수의 외로움은 생활 자체에 깊게 배어 있다. 혼자 사는 집, 어쩌면 연락도 끊어진듯한 가족, 홀로 일하는 일터, 이혼
등등 당연히 은수는 아주 외로운 여자다.
내가 어릴 적에는 비난했던 행동들이 나는 이제 이해가 간다. 사람이 외로우면 그 외로움을 깨치기 위해서 안간힘을 쓰는데
그것에 대해서 비난하기엔, 조금 인간적으로 정상참작의 여지가 매우 크지 않은가.
어쨌든 상우와 은수의 연애에 있어선 은수의 외로움이 큰 원인이 되었고 은수의 리드하에 이 연애는 시작되었다.

중간의 '아름다운' 부분은 생략하도록 하자. 물론 지금도 난 그 장면들이 너무나 사랑스럽지만..
그 사랑스러운 모습들이 나중에 닥칠 종말을 배태하고 있다는 점에 너무 마음이 아팠다. 그냥 이 정도로만..

이제 그들의 사랑은 계속된 연애관계인가 아니면 그것을 정례화하느냐의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원거리연애, 그리고 은수의 직업은 연애에 계속 부담을 더했는데 상우는 늦게까지 이 점을 눈치채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보다 현실적인 은수는 그 점을 빨리 깨달았고 그것에 대한 불안으로 상우에게 선택을 강요하는데
우리의 상우씨는 그 질문에 대한 답을 딱히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왜냐하면 사랑은 사랑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연애가 정례화되면, 연애가 일상으로 들어와버리면 사람은 또다시 외로워지지 않을까.
은수는 마냥 불안하고 확신을 가질 수 없었던 것 같다. 그렇다고 그것을 연애로 지속하기에는 너무 힘들고,
또 그 연애가 언제까지 외로움을 채워줄 지, 연애가 연애로 언제까지 남아있을 수 있을지 모르니까.
상우는 사랑이 사랑이기 때문에 결혼이라는(본인이 아는 유일한) 선택을 제시했지만 그것은 은수가 선택할 범주의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상우는 사랑이 변하고 떠나버렸다고 생각하지만(끝까지 변심으로 받아들인 흔적이 보인다.)
지금 바라본 은수는 그 사랑을 더이상 할 수 없어 끝을 확인한 것 뿐이다.
사랑이 변하는 지는 모르겠지만 영화에서 그 사랑은 끝나버렸다.
아무리 변하는 듯한 그녀의 마음을 붙들어본들 끝나버린 사랑을 되살릴 수는 없으니.

모두가 외로워서 사귄다고는 볼 수 없지만 적어도 외로움이 사랑에 있어서 일정부분 역할을 한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을 것 같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마지막 부분 은수의 정체된 사랑에 비해 성장한 상우의 모습에서 나는 자꾸 또다른 가능성을 점친다.
은수를 일정부분 내 시각에서 이해했는데 아직도, 여전히, 나는 사랑이 끝난다는 사실이 무섭다.
하지만 무서워도 봄날은 지나면 그뿐. 할머니의 대사를 부인할 수 없다.
"힘들지? 버스하고 여자는 떠나면 잡는게 아니란다."

10.11.1 1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