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은 이명박이라는 이름 석 자를 쓸 때 몹시나 두렵다. 이러다 코렁탕 한 사발 하는 게 아닐까... 마찬가지로 노무현이라는 이름을 쓸 때도 엄청 두렵다. 노무현에 대해서 왈가왈부한다는 게 어떤 사람들에겐 일종의 신성모독적 행위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두 가카에 대해 글을 쓸 때의 두려움은 그들이 획득한 권위로부터 나오는 권리겠지만, 나에게도 마음껏 할 말을 할 권리는 있는 거니까, 뭐 퉁칩시다. 사실 본격적으로 글을 쓸 건 아니고, 항상 난 별 볼 일 없는 글 쓰면서 서설만 길더군.

 

우선 한국 정치에 있어서 두 개의 이성을 상정하도록 하자. 하나는 엘리트적인 집단 이성. 이 이성은 지식인들, 자본가들, 정치인들, 그리고 언론인들이 그 지분을 보태고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대중적 이성. 이 이성은 엘리트적인 이성보다는 더 광범위하지만 희미한 경계를 갖고 있으며 엘리트 이성보다 공적인 영역에서 드러나는 일이 드물다. 비록 민주주의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국가와 정치, 경제의 공적 영역이 엘리트 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전부는 아니지만 공적 영역은 엘리트적 이성이, 그리고 좀 더 내려와서 일상적인 영역은 대중적 이성이 지배적이라고 일단 나는 가정해본다.

우선 조금 애매한 대중적 이성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마페졸리는 수없이 변화하는 지배자들과 달리 지속적으로 존재한 대중들의 '지혜'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8,90년대 학자들이 말하는 민중이 어떻게 보면 비슷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우리는 대중적 이성을 주로 그것이 엘리트적 이성에 의해 열광하고 도취된 상태에 놓였을 경우를 통해 생각하게 된다. 파시즘이나 포퓰리즘, 문화혁명들을 그 사례로 들 수 있겠다. 그러나 본디 대중적 이성은 시니컬한 경우가 보통이다. 일상에서 행해지는 저열한 정치토론들, 온갖 소문들은 잘 드러나진 않지만 엘리트적 이성의 목소리보다 훨씬 가까이 그리고 자주 우리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일상적인 지혜는 잘 알고 있다. 이 선거가 지나면 이놈도 결국 저놈이 될 것이라는 점, 그리고 이 공약은 空約이 될 것이라고 아주 뚜렷하게 알고 있다. 대중적 이성은 항상 의뭉스럽고 그 속을 짐작하기 어렵다. 대중적 지혜는 엘리트적 이성에 의해 어떤 경우에는 하늘의 뜻이라고 칭송받고 어떤 경우에는 포퓰리즘이라고 욕을 먹는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엘리트적 이성은 짧고 자주 변하는데 비해 대중적 이성은 잘 보이지 않지만 길게 지속된다. 대중적 이성은 국가에 얽매여 있지 않으며 오히려 문화에 그 뿌리를 내리고 있다.

 

노무현의 정치는, 이런 말 하면 몹시나 싫어할 사람이 많지만, 전형적인 엘리트의 정치였다. 여기에서 나는 엘리트적 이성에 대해 비판을 가하려는 게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해둔다. 오히려 나는 노무현이 처한 현실에서 그가 보여준 용기에 대해선 존경을 아끼지 않는다. 그것은 실패했지만 분명히 의미있는 시도였다. 중요한 점은 그의 시도는 한국의 정치 현실을 고치고 개선하려는 엘리트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가 보기엔 한국의 정치풍토는 비합리적이었고 다른 엘리트들이 만들어낸 구조는 이제는 부수고 새롭게 만들어야할 것들이었다. 그런 시각과 의도를 갖출 수 있었다는 건 노무현이 대중적 이성보다는 엘리트적 이성에 더 가깝다는 점을 말해준다. 하지만 한 가지, 노무현을 기존의 엘리트적 이성과 구분짓는 것은 그가 대중적 이성을 어느 정도 읽었고 그것에 따르는 정치를 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노무현은 한국 엘리트들이 만들어낸 정치질서의 성격을 대중적으로 만들고자 했기 때문에 보수적인 엘리트들과 싸웠는데 이를 위해 다른 엘리트들과 무엇보다도 대중에게 의존했다. 물론 그가 의존했다고 해서 정말 대중이 정치에 많은 영향을 미친 건 아니지만-그것은 어차피 한국의 정치구조상 불가능하다-, 어쨌든 그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가장 이질적인-혹은 새로운정치를 편 셈이 되었다. 당연히 엘리트 집단 내부에서 그는 위험해보였을 것이고 또한 대중적 이성에 대한 비판이 가장 강력하게 가해진 것도 노무현 집권기였다. 이는 뉴라이트의 발흥과 포퓰리즘에 대한 논의가 노무현대에 활발해진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어쨌든 오늘 교수님 말을 빌리자면 노무현은 '새 시대의 맏형'이 되고자 했는데 그는 잘 몰랐겠지만 실은 '구 시대의 막내'일 뿐이었다. 그래서 그를 나는 아방가르드라고 표현한다. 낡은 양식에서 스스로를 붕괴시키면서 새로운 양식을 예견하는 것이 아방가르드의 역할이고 노무현은 언급하겠지만 대중적 이성에 의한 정치, 이명박 시대를 예견한 셈이 되었다.

 

이명박은 엘리트보단 대중에 가깝다. 그의 인생역정과 그의 사고, 언행, 그리고 우리가 지금 목격하는 그의 치적은 그가 왕보다는 일개 범부에 가까운 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잘 생각해보면, 정치인으로서의 그는 프로보다는 아마츄어에 가깝다. 마치 지역 사업인들이 지역의 의원직, 혹은 행정수반을 차지하듯이 이명박은 한국 국가의 행정수반을 아마츄어로서 차지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따라서 이명박의 인생을 성공스토리로, 대중에 가까운 인물로 생각한 투표자들은 틀린 판단은 하지 않은 셈이다. 그들이 오산한 것은 대중이 대중을 가장 위해주겠거니, 하는 마음이다. 이명박은 대중적 이성을 지닌 일원으로서, 전대의 엘리트들이 맹비난한 포퓰리즘의 아비투스를 노무현보다도 더 깊숙히 체화하고 있는 사람이다. 엘리트 집단에서는 한물간 것으로 여겨지는 개발주의와 지역주의, 그리고 연줄에 집착하는 비합리적인 측면은 그가 아주 평범한 한국아저씨스러운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가 훌륭하지 않은 것은 다른 이유가 아니라 그가 원래 그런 사람인 것이다! 당연히 그에게 가해지는 비판은 한국 대통령이라는 막중한 역할과 평범하거나 오히려 못난 그의 자질 사이의 간극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그 평범함이 사실은 우리의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아주 친숙한 모습이라는 점이다. 그게 싫으면 애초에 훌륭한 사람을 뽑든지... 그러나 나는 알고 있다. 정동영이라는 전형적인 엘리트가 대중에게 주었던 혐오감은 그가 가지고 있었을 지도 모르는 장점에 대해 단 일초도 고려하지 않게끔 만들었기 때문에 그는 그보다 훨씬 못 한, 그러나 평범하고 친숙한 우리 이명박 대통령 각하에게 영광스러운 승리를 헌납하고 만 것이다.

 

내가 고려하는 것은 이제는 한국의 대통령이 정말 뛰어나고 훌륭한 사람만이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우리 이명박 대통령이 철저하게 부숴버렸다는 점이다. 물론 앞으로도 쭉 이런 평범한 사람만이 대통령에 오르진 않을 것이다. 대선후보가 될 지도 모르는 안철수나 다른 한나라당 정치인들은 전혀 달라보이지만 엘리트라고 같이 부를 수 있는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다. 이명박이 정권을 내놓고 난 뒤 정말 철저하게 숙청당한다면 그것은 그의 정치의 엘리트적 기반이 약했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래서 나는 이명박의 정치에 대한 비난은 차치하고 그것이 새로운 시대에 등장할 정치의 맏형 노릇을 했다는 점을 주장하고 싶다. 그의 정치는 매우 대중적이고 저렴하다. 마치 옆집 아저씨가 대통령이 된다면, 아니면 내가 대통령이 된다면 하고 싶은 일들을 그는 했다. 그의 정치는 대중적 이성에 기반하고 있어서, 그는 모든 대의가 사실은 일정한 종류의 욕망을 포장한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깨닫고 있다. 모든 기업이 잘 되는 나라보다는 이왕이면 내가 아는 사람의 기업이 잘 되는 나라, 모두가 잘 되는 정치보다는 이왕이면 나랑 친하고 (나한테는) 착한 사람들이 떵떵거릴 수 있는 나라가 당연히 보통 사람한테는 좋은 것이다. 아니, 나라도 내 대통령되면 아는 사람들한테 떡고물 좀 돌리지. 그걸 쉬쉬하지 않는 것도 바로 이명박 정치의 비엘리트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 엘리트들은 항상 정당화를 중요시하고 또 스스로 무언가 믿을 목표가 필요한 존재니까. 평범한 이명박은, 대중적 이성은 그런 것보다는 결국 목숨이, 일신이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안다.

 

따라서 나는 노무현의 정치를 엘리트 정치에서 일탈하려던 일종의 아방가르드 정치로, 이명박의 정치를 기존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대중적이고 일상적인 정치로 이름붙인다단선적인 방향에서의 평가들과는 달리 어떻게 보면 우리가 퇴보라고 부르는 일들이 아주 과격한 변화의 흔적일 지도 모르는 일이다. 이명박의 정치가 멀리는 노태우의 대선구호였던 '보통사람'의 정치를 진짜 실현하고 가까이는 정치의 엘리트적인 덕성을 파괴시킨 것처럼, 앞으로 정치의 어떤 '일상화'가 진행되게 될 런지, 잘 지켜보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