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박물관 1

저자
오르한 파묵 지음
출판사
민음사 | 2010-05-31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거울 앞에 있는 작은 선반에서 퓌순의 립스틱을 보았다. 그것을 ...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순수박물관』을 읽었다. 사실 소설을 읽는 내 마음은 그다지 편하지 않았다. 이 소설의 아웃라인을 미리 살펴보지 않고 읽기 시작한다면 한 여자에 대한 다소 이상한 집착을 가진 케말이라는 부르주아 청년의 넋두리를 봐주기도 힘들고, 또 이게 어디로 흘러가나 이해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 무엇보다도 문제는 난 주인공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사실 '주인공처럼' 사랑하고 집착할 수 있다면 그건 다소 이상하지 않을까? 뭐 그럴 수 있다고 쳐도 21세기를 사는 가난뱅이 대학원생이 1970-80년대 터키의 사랑이야기를 사랑이야기로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점은 인정해주길 바란다. 그래서 보다가 책을 덮었다가 보다가 세부적인 심리묘사에선 버티지 못하고 후딱후딱 넘긴 적도 있음을 고백한다.

 그러나, 내가 받아들이지 못했던 세부들로 인해서 파묵이 소설을 통해 의도했던 아이디어가 실패했다고 보기엔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그 아이디어는 무엇일까? 책의 말미를 보면,


 마치카에 있는 제이다의 집에서 나와, 밤의 정적 속에서 케말 씨와 함께 니샨타쉬를 향해 걸었습니다.
 "당신을 파묵 아파트까지 바래다 드리지요. 나는 오늘 밤 박물관이 아니라 어머니와 함께 테쉬비키예의 집에서 머물 겁니다."
 케말 씨가 말했습니다.
 하지만 파묵 아파트에서 다섯 건물 떨어진 곳에 있는 멜하메트 아파트 앞에 도착하자 그는 멈춰 서서 미소를 지었습니다. 
 "오르한 씨, 당신의 소설 『눈』을 다 읽었습니다. 나는 정치는 좋아하지 않아요. 그래서, 미안합니다만, 읽는 데 좀 힘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결말 부분은 마음에 들었습니다. 나도 그 책에 나오는 등장인물처럼, 소설 끝에서 독자들에게 한마디 하고 싶습니다. 내게 그런 권리가 있을까요? 언제 책을 마무리할 겁니까?"
 "당신이 박물관을 완성한 후에요." 
 이제 우리 사이에 농담처럼 된 말이었습니다.
 "나는 그 인물처럼, 멀리 있는 독자들이 우리를 이해하지 못할 거라고는 말하지 않겠습니다. 반대로, 우리 박물관을 둘러본 사람들은, 그리고 당신 책을 읽은 사람들은 우리를 이해할겁니다. 하지만 다른 할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을 마치고 나서, 그는 주머니에서 퓌순의 사진을 꺼내 멜하메트 아파트 앞에 있는 가로등의 희미한 불빛 아래서, 사랑이 가득한 시선으로 퓌순을 바라보았습니다. 나도 그의 곁으로 갔습니다.
 "아름답지 않나요?"
 삼십 년쯤 전에 그의 아버지가 그에게 말했던 것처럼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두 남자는, 9번이라고 새겨진 검은 수영복을 입고 있는 퓌순의 사진을, 벌꿀 색 팔을, 전혀 즐겁지 않고 오히려 슬픈 얼굴을, 멋진 몸을, 사진을 찍은 후 정확히 삼십사 년이 흐른 후에도 우리를 매료하는 인간적인 고뇌가 묻어 있는 표정을, 그녀의 영혼을, 감탄하며 사랑을 다해 존경스럽게 바라보았습니다.
 "케말 씨, 이 사진을 박물관에 전시하세요."
 나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책에 나오는 나의 마지막 말은 이것입니다, 오르한 씨, 잊지 말아 주세요."
 "잊지 않겠습니다."
 그는 퓌순의 사진에 사랑을 다해 입을 맞추고는, 재킷의 가슴 주머니에 조심스럽게 넣었습니다. 그러고는 나를 보며 승리한 듯한 미소를 지어 보였습니다.
 "모든 사람이 알아주었으면 합니다, 내가 아주 행복한 삶을 살았다는 것을." 



이 구절이 나는 가장 명료하면서도 핵심적인 구절이라고 생각한다. 케말과 퓌순의 사랑이야기에 대해선 내가 다소 냉랭하다는 점은 안타깝지만.. 케말의 이상한 사랑은 내가 이상하다고 이야기해도, 혹은 다른 누가 뭐라고 이야기한다고 해도 케말에게는 가장 소중하고 아름다운 사랑이었으리라. 그래서 '이상함'과 비례해서 사랑에 대한 기억(혹은 묘사)은 극도로 디테일해질 수 밖에 없다. 읽는 내가 견딜 수 없다고 해도 말이다. 나는 부르디외와 인류학에 대한 파묵의 관심이 디테일에 대한 추구로 이어졌다고 생각한다. 망각되어가고 이해받지 못한 것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은 그것들로 하여금 말을 하게 하고, 그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주고, 궁극적으로는 그것들을 생생하게 전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순수박물관'은 작중 화자인 '케말'이 상징하는 잊혀져가고 이해받지 못 하는, 지금은 낡아버린 어떤 맥락으로 하여금 다시 목소리를 내고 의미를 복권하는 공간이다. 생각해보라, 국가주의자들과 근본주의자들이 대립하는 터키에서, 서구화와 신을 추구하는 사회에서 지극히 개인적인 사랑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그런 의미에서 우리 개인 모두들은 자기만의 박물관을 가지고 있다. 박물관에 놓인 사물들은 외면과 내면이 교차하는 지점이면서, 또한 우리 각자의 주관들이 이야기를 통해 상호소통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또한 사물은 회상이라는 형태로, 또는 기대와 예측이라는 형태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이 우리의 의미가 동화된다거나 무반성적인 공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건 아니다. 다시 말하지만 케말의 박물관을 보고, 그리고 나의 박물관을 보고 우리는 말하고 떠들 수 있다. 케말이 누누히 이야기하는 것처럼 박물관에는 존중이 필요하지만 그것이 거기에 대해서 아무런 이야기를 할 수 없다는 주장으로 이어질 순 없다. 누구도 이야기하지 않으려면 박물관 역시 필요하지 않으리라. 박물관은 반드시 기꺼이 보고자 하는 관람객과 관람객의 생각, 그리고 그들의 코멘트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그런 아이디어에는 공감을 해도, 사실 내가 이 소설에서 가장 뒤떨어진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케말이라는 전시품이다. 이 지점에서 오르한 파묵은 전혀 케말에 대해서 양보해야할 의무도 그리고 의향도 없겠지만, 여튼 나에겐 그렇게 매력적인 캐릭터는 아니었다는 점을 이야기하고 싶다. 사회적인 목소리가 결여되어있다거나 찌질하다거나 그런 문제보다는, 케말의 모든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을 나열한다고 해서 내가 그것을 꼭 이해해야할 필요는 없기 때문인 것 같다. 파묵은 자연주의자인가? 혹은 케말의 사랑은 내가 가지고 있는 사랑이라는 단어의 위치와는 상이하게 다르기 때문에 생겨나는 일인가. 이 부분은 조금 헷갈린다. 그래서 나는 파묵의 다른 소설들을 좋아하는 것만큼은 이 소설을 좋아할 순 없을 것 같다. 



+ Recent posts